한국에는 불교, 유교와 함께 서구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은 오래된 종교 현상인 무속 무속이 존재합니다 . 이 용어에 따라 우리는 주로 여성인 무당 무당 과 희귀한 남성인 박수인 무당을 중심으로 조직된 일련의 대중적인 신앙과 관습을 하나로 모았습니다 . 그들은 인간과 영계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의 범주를 구성합니다. 시베리아에서 시작된 이러한 종교적 현상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역사 전반에 걸쳐 존재하고 있다.
무당, 신, 영혼
한국의 샤머니즘에는 행위와 믿음의 노선을 정의하는 어떠한 교리나 공식적인 또는 신성한 경전이 없으며, 구전으로 전달되는 전통이 있습니다. 이 전송의 벡터는 무당입니다. 부각될 만큼 드물지만 영적인 힘은 여성, 즉 무당 에게 있습니다 . 이들은 독립적이고 비계층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합니다.
무당 에는 일반적으로 세습무당인 세습무 와 소위 영감 무당 인 강신무 의 두 가지 유형 이 있습니다 . 첫 번째 경우, 무당은 무당 집안에서 태어나거나 무당이 있는 집안에 시집을 갔다. 따라서 그녀는 가족의 전통을 어깨에 짊어지고 있습니다. 영감 무당 의 경우 , 그녀는 신에 의해 선택되어 영적 입문 또는 “영적 질병”인 신병 신병을 겪는다 . 따라서 영감을 받은 샤먼은 모든 사회 계층, 모든 연령대, 남성과 여성에서 나올 수 있습니다.
입문 후, 초보자는 그에게 다양한 의식과 의례를 가르칠 경험이 풍부한 무당 과 함께 견습 과정을 따릅니다. 그러나 무당의 유전적 성격이 그녀의 영적 입문을 방해하지는 않습니다. 무당 은 일반적으로 위계나 기준 없이 움직이는 판테온의 신들의 그림이 걸려 있는 개인 성소를 세웠습니다.
의례인 굿굿 을 수행하는 것은 무당 에게 달려 있으며 , 그 의례는 지역마다 다릅니다. 이 경우, 그들은 무아지경 동안 그릇 역할을 하는 신성이나 죽은 사람의 영혼과 접촉하게 됩니다. 빙의되는 동안 영은 그들을 통해 장애의 원인과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수단을 전달합니다. 춤과 노래는 무당이 자신이 요청한 문제를 담당하는 영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이러한 의식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다소 복잡한 이러한 의식에는 다양한 수의 제물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무당 은 다양한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의식을 거행하고, 질병을 치료하고, 설교하고 점을 치며, 심지어 저주까지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들은 국내, 농촌, 그리고 특정 시기에는 전국적으로 큰 수요가 있었습니다.
외국종교: 갈등과 혼합주의 사이
지역적 차이가 있듯이 현재의 샤머니즘도 그 기원의 샤머니즘은 아니다. 중국을 통해 외국 종교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진화하고 적응했습니다. 그 요소 중 일부는 새로운 종교에 의해 회복되었습니다. 불교는 한반도에 뿌리내리기 위해 무속의 주요 신들을 판테온에 모셨다. 특히 산신 (山靈)인 산신이 그렇다 .
이 화제의 신은 일반적으로 호랑이를 동반한 노인의 모습을 취하는데 , 호랑이는 호랑이를 통해 마을 사람들에게 천상의 결정을 전달하는 사자 입니다 . 이 무속신은 조선 시대모든 사찰 에 등장한다 . 각 사원에는 산신 보살을 모시는 제단이 있는 작은 정자가 있으며 그 위에는 산신의 그림이 걸려 있습니다. 샤머니즘은 부처 와 보살을 판테온 에 통합시켰습니다.
비록 여러 측면에서 유교가 샤머니즘에 반대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둘 다 점술, 일혼술(꿈을 이용한 점술), 부적의 사용, 길조와 해로움에 대한 믿음 등 특정 관행을 공유합니다. 이러한 융합을 통해 조선 유교인들은 마을 굿을 남성들에게만 허용된 조상 숭배로 대체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사회의 샤머니즘
삼국 시대 (c. 300 – 668), 그리고 통일 신라 (668 – 918) 시대에 정신적, 정치적 권력이 분열되어 무당으로 구성된 본격적인 종교 단체가 탄생했습니다. 후자는 왕국의 안전과 번영을 보장하기 위해 의식을 조직합니다 . 4 세기 초 한반도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샤머니즘과 갈등의 시기를 가지면서도 공존의 형태를 띠게 되었다. 무속은 불교의 확산에 반비례하여 정치적 힘이 점차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고려 시대 (918-1392)에는 무속이 국교 로 승격되었고 , 이로 인해 한국에서 무속이 점차 소외되었습니다. 그러나 왕은 여전히 공식적인 축하 행사를 위해 국가 무당을 요구합니다.
무속도 불교와 마찬가지로 성리학 을 이념으로 삼은 조선왕조의 탄압 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 그런 다음 대부분의 샤머니즘 제단이 파괴됩니다. 무당 은 계급이 엄격한 사회에서 매우 차별적인 지위인 천민으로 강등 되었고 , 1444년에 수도에서 추방되었지만 이 조치는 효과가 없었습니다.
무당은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있고 남자들과 대화할 수 있는 보기 드문 여성이다. 그들은 스스로를 부양하고 그들의 영적 능력에 대해 두려운 존경심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조선시대 한국 여성들보다 훨씬 자유롭다 . 이 시기 성리학자들은 그들을 마음을 즐겁게 하는 역할을 하는 일본의 기생과 대중 앞에서 공연하는 매력을 파는 무용수인 사당 사당 에 의도적으로 비유했다. 무당 을 경멸하는 이러한 태도는 20 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 .
참고로 대구점집의 50년 전통 의식
원주점집 에서 50년 전통 의식을 이어가는 비선당이라는 곳이다